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pring boot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jdbc characterencoding utf8mb4
- jdbc utf8mb4
- MYSQL
- Protecle
- getEntityGraph
- +9:00
- NamedEntityGraph
- mysql =
- java jdbc utf8mb4 연결 오류
- getDateCellValue
- load order
- 버전 문자열 비교
- fractional seconds
- AuditingEntityListener
- https
- RootGraph
- createEntityGraph
- sendFractionalSeconds
- mysql not equal null
- mysql8업그레이드
- yml
- 1*1000
- MSSQL
- 운영체제별 차이
- mysql equal null
- 운동해서 광명찾자
- apatch poi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9)
Hello

azure app service를 사용하게 되어 테스트하는 중 시간이 utc로 설정 되어 서버시간을 사용할 경우 의도와 다르게 처리된 이슈가 있어 타임존 변경이 필요 했다. azure app service 에서 타임존 설정 방법을 기록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app service가 window, linux os 타입별로 환경 변수 설정 값이 달라 설정 시 확인이 필요하다. - os별 time zone 설정 환경 변수 window linux time zone key WEBSITE_TIME_ZONE TZ azure portal 메뉴 : app service -> 설정 -> 구성 -> 새 어플리케이션 설정을 통해 등록이 가능하다. azure app service 환경 변수 및 앱 설정 페이지에 time ..

한글 검색을 할 경우 데이터 조회가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처음에는 DB를 master, slave 이중화 하여 사용하고 있어 동기화 이슈로 예상을 하고 데이터를 확인 해보니 이슈가 없어 한글인 경우만 문제가 있는 것을 파악했다. insert할 때 한글값 저장이 잘되고 조회할 때 안되는걸로 보아 master, slave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각 디비의 character를 확인해보니 character_set_server 값이 latin1로 설정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문제였다. 일전에 slave db복구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5.7.x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기본 설정 latin1로 적용 된 것 같다. 캐릭터 셋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MySQL 5.7 이하는 latin1, MySQL 8은 utf8m..
SQLServer2012 버전부터 offset fetch절을 지원합니다. JpaRepository를 상속받아 Page findAll(Pageable var1); 메소드 호출시 Offset Limit절을 사용하지 않고 Jpa 자체 쿼리를 사용하는 이슈가 있어서 디버깅을 통해 OrderBy가 작성되지 않아 Offset절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SQLServer2012LimitHandler.processSql() 메소드에서 order by절 유무를 통해 페이징 처리 쿼리절의 방법이 나뉩니다. public String processSql(String sql, RowSelection selection) { if ( hasOrderBy( sql ) ) { if ( !LimitHelper.useLimit..
spring boot properties 설정 관련된 내용을 새로 알게되어 정리하고자 글을쓴다.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dev.properties spring boot는 profile properties 파일을 우선으로 로드하고있다. spring.active.profile 속성을 통해 읽고자 하는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pring.active.profile=dev 속성을 지정한다면, 위와 같은 파일을 가질 경우 application-dev.properties -> application.properties 순으로 파일을 읽어 낸다. 위의 설정이 아래와 같이 값을 가지고 있다면 있다면, dev.properties 설정을 읽는다. 우선순위는 {profile}...

옵저버 패턴이란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의존하고 있는 모든 객체에 변경됨을 알려주는 일대다 의존성 관계를 정의한다. 주제(subject) / 옵저버(observer)로 표현한다. 두 관계는 느슨하게 결합되어있다. 주제는 옵저버가 인터페이스만 갖는다. 내부가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는 알지 않는다. 주제는 옵저버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라면 새로 구상된 옵저버 클래스를 추가 할 수 있다. 서로 느슨한 결합이기 때문에 구현이 바뀌어도 주제 / 옵저버 구현만 되어있다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 유튜브 채널을 구독했다면 새로운 영상이 등록 되었을 때 알람을 보낸다. 채널을 구독한 사람들은 새로운 영상이 올라왔다는 알람을 받게 된다. 예) 집을 판매하기 위해 여러 부동산에 등록한다. 집을 판매하게 되면 부동산에..

Spring은 HTTP 통신을 위해 RestTemplate와 WebClient를 제공한다. Spring5에서 WebClient가 추가 되면서 RestTemplate는 Deprecated 될 예정이므로 WebClient 사용을 권장한다. RestTemplate 과 WebClient 차이 RestTemplate Blocking I/O 기반의 동기식(Synchronous) API 순차적 처리 호출자 Thread를 사용합니다. 별도의 Thread를 할당 하지 않을 경우 Main Thread 사용 RestTemplate 호출에 응답을 받을 때 까지 Thread가 대기상태(block)가 된다. WebClient Non-Blocking I/O 기반의 비동기식 API 비순차적 처리 별도의 Worker Thread가 할..
Service Bus는 MS 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broker다. 메시지 broker는 송신자의 메시지 프로토콜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자의 메시지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중간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이다. 수신자와 송신자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해준다. service bus는 queue 와 topic 두개의 네임스페이스를 지원한다. - queue는 수신자와 송신자 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신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할 수 있을 때 까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 topic은 여러개의 수신자(구독)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메시지의 복사본을 수신할 수 있다. 여러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topic을 사용했다. topic은 수신하기 위해 SubscriptionClient를 사용한다. 메시지 수신을 위한 코드 작성..
Swagger는 간단한 설정으로 rest api문서 자동화를 해주는 프레임워크다. dependency 적용 - swagger2 기능을 지원 io.springfox springfox-swagger2 2.9.2 - swagger2 ui 지원 io.springfox springfox-swagger-ui 2.9.2 - swagger2 ui의 유효성 검증 지원 io.springfox springfox-bean-validators 2.9.2 java config 설정 @Configuration @EnableSwagger2 @Import({BeanValidatorPluginsConfiguration.class}) public static class SpringFoxConfig { @Bean public Docket ..
행위 기반 테스트 - 메소드 실행이 원하는 흐름대로 동작되는 것이 목적이다. - return된 결과만 확인 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흐름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 sendMail(String toUser, Content content)라는 메소드를 호출 했을 때 어떤 로직이 실행 되고 fromUser은 메일을 보낸 흔적이 남고, toUser은 메일함에 메일을 받은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중간 과정의 흐름을 확인하고 판단하는게 중요하다. - Mock 객체를 생성해서 given-when-then 탬플릿 순서대로 흐름을 확인하는 테스트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상태 기반 테스트 -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해 객체의 상태 (값)을 확인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세부 구현 로직..
람다식(lambda expressions) ==익명함수==일급객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는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다. 이것은 함수를 간략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메서드와 함수의 차이는 메서드는 객체의 동작 행위를 의미하고 틀정 클래스에 반드시 속해있어야합니다. 함수는 같지만 객체(클래스)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능을 동작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람다식은 메서드가 하나의 독립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에 함수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기본 식 () -> {} 람다식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말하며, 이는 익명 클래스의 객체와 동등합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람다식과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단일로 연결되기 위해 추상메서드가 하나만 정의되어 있어합니다. static, ..